본문 바로가기

STUDY93

후열처리(PWHT)의 필요성 후열처리(PWHT)의 필요성 1. 상전이 (Phase Transition)강재는 성분구조 마다 가열과 냉각에 대한 반응이 다름.그 미세 조직 및 구조는 실시간으로 변화함. ※ 성분구조라 함은 탄소 함유량의 차이 같은 구성 성분의 차. 그 결정구조마다 특성이 다르다 강재의 용접부는 용접금속, HAZ, 모재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 HAZ : Heat Affected Zone 용접부 최대온도를 기점으로 바깥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데,이떄 실시간으로 상전이가 일어남. 두 그림을 겹쳐보면, 용접부 주위 강재의 상이 거리에 따라 다르다. 떄문에 용접부 주위에서 요구하는 기계적 성질 값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생김. 일례로 마르텐 사이트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탄소를 과포화한 페라이트로 변태된 것을 지칭하는.. 2018. 1. 10.
[용접결함] 기타결함(형상결함, Arc Strike, Spatter, Crater 등) [용접결함] 기타결함(형상결함, Arc Strike, Spatter, Crater 등) 1. 기타결함 Arc Strike – 용접부가 아닌 모재부에서 아크가 발생된 자국으로 아크 발생 시의 열을 급격히 냉각되어 단단하고 취약한 구조로 균열의 원인이 됨. 오든 아크스트라이크는 제거되거나 적절히 보수되어야 함.Spatter – 용융금속이 보호가스 활동에 의해 비산하여 용접부 주위에 붙은 것으로 모두 제거되어야 함.Crater – 아크를 끊을 때 비드 끝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으로 이 부분이 균열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아크를 끊을 때는 갑작스럽게 귾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함.Grinding Mark – 용접 후 표면을 다듬는 그라인딩 작업 시 모재의 표면에 손상을 준 채 방치. Tack-Weld Defect .. 2018. 1. 10.
[용접결함] 기공(Porosity), 공극(Cavity)의 원인, 방지대책 등 [용접결함] 기공(Porosity), 공극(Cavity)의 원인, 방지대책 등 1. 일반사항용접 중 발생한 가스가 표면으로 다 빠져 나가지 못한 채 용착금속 내에 갇혀 나타난 빈자리일명 기공(Blow Hole, Gas Pocket)밀접한 정도에 따라 균일하게 산재한 다공성,집단 되어 있는 다공성,선형 다공성 등아주 큰 기공이 아니면 예리한 불연속보다는 덜 심각함. 2. 발생원인용접봉 선정이 부적절한 경우강풍 및 가스 노즐의 막힘, 차폐가스 부족 시용접봉 피복제 손상 혹은 흡습 시 아크의 길이, 전류, 조작이 부적당할 경우용접부 표면에 기름, 페인트, 녹이 있을 경우용접부의 냉각속도가 빠른 경우 3. 방지대책강재에 적합한 용접봉의 선택야외 용접 시 바람막이 설치 등충분히 건조된 저수소계 용접봉 사용강재의 .. 2018. 1. 10.
Pipe Fitting 정의 및 종류, 적용코드 Pipe Fitting 정의 및 종류, 적용코드 1. 정의▷ Piping system에서 배관의 방향을 바꾸거나, 관경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주배관에서 분기하여 배관을 하는 작업 2. 종류1) Wrought Steel Butt-Welding Fittings- Dimension 정보 : ASME B16.9- 재료 : ASTM A234, A403, A420- 두꼐 : 파이프에 따라 차등 적용 ※ Wrought steel, 이전 포스트에서 언급한 철강 구분에서 탄소 함량이 0.2~1%인 연강 바로가기 > [STUDY/Piping] - 재료의 이해(Materials) 2) Forged Steel Threaded and Socket-Welding Fittings - Dimension 정보 : ASME B16.11 .. 2018. 1. 9.
[용접결함] 슬래그 혼입(Slag Inclusion)의 원인, 방지대책 등 [용접결함] 슬래그 혼입(Slag Inclusion)의 원인, 방지대책 등 1. 일반사항용착금속이나 혹은 모재의 용착금속 사이에 혼입된 비금속의 이물질로서 개별적으로 연속되는 선형 혹은 중간 중간 끊어지면서 층을 이루는 형태로 존재용착부의 응고 속도가 빨라 용착금속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비중이 높거나, 표면으로 미쳐 떠오르지 못하고 내부에 갇히게 되어 발생. 2. 발생원인아래 층(Layer)의 Slag 제거가 미흡할 경우Slag 유동성이 빨리 냉각될 경우용접부의 개선이 부적당한 경우용접부의 개선이 낮을 경우용접 전류가 낮을 경우용접봉의 각도 및 운봉조작이 부적절할 경우 3. 방지대책전 층의 Slag를 완전히 제거 후 다음 층 용접용접부의 예열 실시용접봉 조작이 쉽도록 이음부 설계 개선전류를 약간 높게적.. 2018. 1. 9.
[용접결함] 융합 부족(Lack of Fusion)의 원인, 방지대책 등 [용접결함] 융합 부족(Lack of Fusion)의 원인, 방지대책 등 1. 일반사항용접 이음내의 금속의 일부분이 완전히 녹지 않아 용접쇳물이 불충분하게 채워 지게 되어 발생하는 불연속 결함모재와 용착금속, 용접 비드와 용착금속 사이에 발생용접 속도가 빠르거나 용접사의 기량이 부족할 경우 주로 발생. 2. 발생원인이음매 설계가 잘못되어 있을 경우용접봉의 선택이 불량할 경우용접 전류가 너무 낮을 경우용접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3. 방지대책루트 간격, 개선 각도 등을 조절적절한 직격의 용접봉 사용용입이 좋은 용접봉 선정용접 전류를 조금 높게용접 속도를 약간 느리게 [STUDY/Welding Defect] - [용접결함] 결함의 분류 [STUDY/Welding Defect] - [용접결함] 균열(Crack.. 2018. 1. 9.
[용접결함] 용입 부족(Lack of Penetration)의 원인, 방지대책 등 [용접결함] 용입 부족(Lack of Penetration)의 원인, 방지대책 등 1. 일반사항맞대기 용점부의 이음 중앙부에 이음부 전체가 용접되지 않고 불충분하게 용접되어 나타나는 현상구조틀의 한 쪽 면 용접이나 배관 맞대기 용접에서 용입부족은 루트에 표면결함으로 나타나 노치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아주 심각한 결함이 될 수 있다. 2. 발생원인이음매 설계가 잘못되어 있을 경우용접봉의 선택이 불량할 경우용접 전류가 너무 낮을 경우용접 속도가 너무 빠를 경우 3. 방지대책루트 간격, 개선 각도 등을 조절적절한 직경의 용접봉 사용용입이 좋은 용접봉 선정용접 전류를 조금 높게용접 속도를 약간 느리게 [STUDY/Welding Defect] - [용접결함] 결함의 분류 [STUDY/Welding Defec.. 2018. 1. 9.
[용접결함] 균열(Crack)의 원인, 방지대책 등 [용접결함] 균열(Crack)의 원인, 방지대책 등 1. 일반사항접합부의 품질과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용접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용접 결함의 하나구조를 붕괴 등 커다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 사용 환경, 모재의 재질 및 두께, 용접봉의 종류, 예열 및 후열처리 등 용접조건의 사전 검토 및 철저한 시공관리가 필요 2. 발생원인용접 모재의 강도가 높은 경우부적당한 용접봉을 사용한 경우용접부의 냉각속도가 빠른 경우용접부 주변 오염 혹은 습기가 잔류할 경우과다 전류로 빠른 속도로 용접할 경우아크길이, 전류 및 용접조작이 부적절할 경우가접(가용접:Tack Weld)부가 불량할 경우 3. 방지대책용접봉 교체 (저수소계 용접봉 사용)충분한 예열 및 후열 실시충분히 건조된 용접봉 사용용접부 청결 유지 .. 2018. 1. 9.
[용접결함] 결함의 분류 [용접결함] 결함의 분류 1. 구조상의 결함- 기공 (Porosity) - 슬래그 혼입 (Slag Inclusion) - 용입 부족 (Lack of Penetration) - 용합 부족 (Lack of Fusion) - 균열 (Crack) 2. 치수상의 결함- 변형 및 비틀림 - 치수 결함 (여성고, 각장부족) - 형상 결함 (언더컷, 오버랩) 3. 성능상의 결함- 기계적 성질 불량 (인장, 충격 등) - 화학적 성질 불량 (화학성분, 부식 등) 4. 결함의 판단 - 실제 현장에서 Fit-up 검사를 간다거나 RT 필름을 리뷰할떄 그 형상만 보고 이게 어떤 결함이다라고 즉각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경험이 필요함. - 국제 Code(ASME Sec.IX)에서는 결함의 징후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 2018. 1. 9.